암연구지원

3차 암연구지원사업

  • 암연구지원
  • 제3차 암연구지원사업
  • 조회수: 11287

제3차 암연구 지원사업(2022 ~ 2025) 안내

I. 사업개요

1. 목 적

국민 암 부담을 실질적으로 감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국내 암 연구 지원.

2. 사업기간

개시일로부터 3년 (2022-2025)

3. 지원 대상 연구영역
  •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위험(Cancer Risk)을 실질적으로 감축, 예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실용연구(Pragmatic Action Research).
  • 우리나라 암 발병자에 대한 조기진단, 치료, 재활관리 등의 의료/의술 유효성을 평가하는 임상 연구(Comparative Clinical Research).
  • 드물게 발병(인구 10만 명당 연간 6-10명 이하), 또는 등한시 된 암에 대한 의학적 연구 (Medical Research for the Cancers Neglected or with Lower Research Priority in Korea).

영역 1 ①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의 주요 요인 및 원인점유율 규명 연구
② 비만요인 원인점유/기여율 규명 및 비만관리 의료개발 연구
영역 2 ① 암 발병 조기진단 의료/의술 개발 및 그 유효성 평가연구
② 암 환자 생존율,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관리연구 및 말기암환자를 위한 치료관리 연구
영역 3 드문(rare), 또는 등한시 된(neglected) 암에 대한 의학적 연구
4. 지원 연구비 규모 및 소요비용
  1. 지원 연구비 ; 3년 동안 총 20억
  2. 지원 연구기간 : 연구계획 내용에 따라 최대 3년
  3. 지원 연구비 상한 액 : 최대 1억 원/년을 원칙으로 하되 심사과정에서 조정 가능함.
  4. 지원 과제 수 : 총 지원 연구비 규모 이내에서 선정
5. 추진일정
  • 사업 계획 공고 : 2022. 6. 13. – 7. 20.
  • 연구개발 계획서 접수 : 2022. 7. 4. – 8. 15.
  • 지원과제 선정 심사 및 심의 : 2022. 8. 22. - 9. 15.
    (선정 심사는 대한민국의학한림원에 위탁하여 시행함.)
  • 연구 개시 : 2022. 10. 1.

II. 연구지원 사업내용

1. 연구책임자의 자격
  • 의과대학 교원 및 기타 의료 및 생의학 연구인력
    단, 연구기간 중 6개월 이상의 장기 해외연수자는 제외.
2. 세부과제 구성요건
  • 주관/세부 과제 연구는 3명 이내의 세부연구책임자로 구성함.
  • 주관연구책임자는 제1세부 연구책임자가 됨.
3. 연구비 산정과 기준
  • 연구비는 연구책임자가 연구수행에 필요한 직접경비를 최대한 자율적으로 산정하고 집행함을 원칙으로 함.
  • 인건비는 총연구비의 50% 이내에서 책정(내부인건비 제외).
  • 여비는 연구책임자가 속한 기관 지급규정 준용.
  • 회의비는 총연구비의 5%를 초과할 수 없음.
  • 최종지원 연구비 결정시 적정성이 인정되지 않거나, 이 지침에 위배되는 신청 연구비는 삭감하여 지원함.
4. 지원과제 심의
  • 접수된 연구과제 중 지원연구과제의 선정,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는 대한민국의학 한림원에 위탁하여 시행함.

III. 연구제안 요청서(RFP)

1. ‘영역 1 연구’

가. 지원 대상 연구의 주제
  •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 주요 요인(Major risk factors)의 규명 및 원인 점유율 추정, 국민 암 부담을 실질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개발/제시하는 연구.
나. 지원 연구비 규모, 과제 수 및 기간
(1) 지원 연구비(총액 기준) : 7억 5천 – 8억 원/3년
(2) 과제 당 지원 연구비 상한 액 : 1억 원/년을 원칙으로 하되 심사과정에서 조정 가능함.
(3) 지원과제 수 : 총 지원 연구비 규모 이내에서 선정
(4) 지원 연구기간 : 최대 3 년 (2022. 9 – 2025. 8)
다. 제안배경
  •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 원인 점유율을 추정함으로써 국민 암 부담을 실질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개발/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함.
  • 서구의 연구결과 비만이 특정부위 암 발병에도 원인으로 관여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확인, 제시되었으나, 우리나라 국민 대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임.
  • 우리나라 국민의 암발병 요인 중 비만 요인의 암 발병 원인 점유‧기여율을 규명하는 연구와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의료 방안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함.
라. ‘영역 1 연구’의 연구제안 요청서(RFP) 내용

(1)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의 주요 요인 및 원인점유율 규명 연구

1)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과의 인과성이 확인/논증된 주요 암 발병 요인 (Major risk factors)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실제 연관성을 확인·규명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① 발병위험 암 부위 및 위험/안전 노출 용량 추정연구.
② 발병위험 암 부위별 원인점유율(etiologic fraction) 추정연구.
③ 우리나라 인구원인기여율(population attributable risk) 추정연구.
④ 발병요인 노출감축(또는 억제) 실행방안 개발 및 그 유효성 평가연구.
(실천방안의 수용성 평가를 포함하여야 하며, 경제적 비용-효과 분석이 포함될 수도 있다.)
2) 우리나라 국민 암 발병과의 인과성을 확인/규명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3) 발병예방 의료개발의 기반지식과 관련되는 발병요인 발암과정 (또는 기전)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4) 우리나라 자료를 기반으로 한 현장적용 (관찰/역학, 중재연구 등 action research) 연구로 수행한다.
5) 연구 수행 방법의 객관성과 과학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, 통계적 안정성(statistical stability)이 확보되어야 한다.
(예: 성/연령별 위험요인 노출(또는 감축) 용량/기간)
6) 감축/억제방안의 유효성 평가가 연구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를 설계, 수행 (시험 적용)한다. 예를 들어, 최종사건(예: 암 발병)이 연구기간 내에 관측될 수 없어 연구 계획에서 유용성 평가 지표로 결과사건 (outcome events)을 정의/결정함에 있어서 최종사건 (예: 암 발병)에 외삽(extrapolation)/대체(proxy) 가능하다는 논리적 근거 제시가 요구된다. 연구 계 획의 결과사건(outcome events)이 연구기간 내에 충분히 관측될 수 없는 경우, 관측될 수 있는 중간단계 결과사건(intermediate outcome, 예: 특정 생물/물리학적 표지자, 현상/증세 발현 등)으로 정의, 설정하며, 중간단계 결과사건의 변동이 최종적으로 암 발병의 변동을 추 정할 수 있다는(=extrapolation/proxy) 확실한 논리적 근거가 제시되어야 한다.

(2) 비만요인 원인점유/기여율 규명 및 비만관리 의료개발 연구

1) 암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인 비만에 대하여 서구에서 암 발병과의 인과성이 과학적으로 확인되었으나, 우리나라 국민 대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비만 요인의 암 발병 원인 점유·기여율을 규명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① 비만도에 따른 부위별 암 발병 위험도 추정연구.
② 비만 요인에 의한 발병위험 암 부위별 원인점유율(etiologic fraction) 추정연구.
③ 비만 요인에 의한 암 별병의 우리나라 인구원인기여율(population attributable risk) 추정연구.
④ 암 진단 시 동반되는 비만 혹은 근감소증과 암 치료성적과의 상관관계 평가연구.
2)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의료 방안을 개발 및 그 유효성을 평가 하고 제시함에 있어, 실천방안의 수용성 평가를 포함하여야 하며, 경제적 비용-효과 분석이 포함될 수도 있다.
① 비만의 객관적인 측정 방법 (예, body mass index [BMI], 허리둘레 등)을 설정하고 암 발생 위험도 감소 효과를 기준으로, 적절한 비만 관리 목표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,
② 비만 관리 방법 (예, 식단 조절, 신체활동, 운동, 수면 등 생활습관 관리, 약물요법 등) 적용 시에는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하되, 발생 가능한 부작용을 예측 및 평가하여 위험·이익 분석에 활용하고,
③ 본 연구에서 활용한 비만 관리 방법은 정성적, 정량적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실생활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제시할 것을 권고한다.
3) 비만으로 인한 암 발병 예방 의료개발의 기반지식과 관련되는 발병요인의 발암과정 (또는 기전)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4) 우리나라 자료를 기반으로 한 실용 연구(관찰/역학, 중재연구 등 Pragmatic action research)로 수행한다.
5) 연구 수행 방법의 객관성과 과학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, 통계적 안정성 (statistical stability)이 확보되어야 한다. (예: 성/연령별 위험요인 노출(또는 감축) 용량/기 간)
6) 국가자료 (심평원, 공단 등)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관련 자료 이용 방법과 그 실행 가능성등 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.

2. ‘영역 2 연구’

가. 지원 대상 연구의 주제
  • 암 발병 조기 진단을 위한 의료·의술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는 연구.
  • 암 환자 생존율,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치료와 관리 방안을 개발하는 연구 및 말기 암 환자 관리 향상을 위한 연구.
나. 지원 연구비 규모, 과제 수 및 기간
1) 지원 연구비(총액 기준) : 7억 5천 – 8억 원/3년
2) 과제 당 지원 연구비 상한 액 : 1억 원/년을 원칙으로 하되 심사과정에서 조정 가능함.
3) 지원과제 수 : 총 지원 연구비 규모 이내에서 선정
4) 지원 연구기간 : 최대 3 년 (2022. 9 – 2025. 8)
다. 제안배경
  • 암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률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함. 최근 암 조기 진단에 유전체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며 발전하고 있음. 그러나 이에 대한 기술적 검증이 충분하지는 않으며, 유효성 평가를 통해 적용 인구집단이 정의될 필요가 있음.
  • 최근 고가의 면역치료제 및 표적치료제에 대한 급여 범위가 확대되었고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항암제의 생존률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이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음.
  • 최근 과거 10년 암의 진단 및 치료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이를 통한 암환자의 부담 (경제적 부담 포함)은 급격히 늘어났으나, 그에 맞게 생존율이 향상 되었는지 와 삶의 질이 향상되었는지에 대해 연구된 바가 별로 없음
  • 암환자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서 암이 말기로 점차 진행할수록 환자 및 사회적 부담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말기암 환자의 치료 관리에 대한 연구가 별로 없음
  •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 시행과 함께 암환자의 호스피스 이용률도 점차 증가추세이나, 죽음이 예견되는 말기 암 환자 및 가족이 존엄성을 가지고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더 좋은 관리 방안을 모색 및 제공할 필요가 있음.
라. ‘영역 2 연구’의 연구제안 요청서(RFP) 내용

(1) 암 발병 조기 진단을 위한 의료·의술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는 연구.

1) 과학적으로 입증된 암 발병의 전암병변, 초기병변 또는 관련 인자를 대상으로, 아래와 같이 실제 발견 방법 및 유용성을 확인·규명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① 암 발병 조기 진단을 위한 검체 (예, 자궁경부 세포진, 소화·호흡기 세포진, 소변, 대변)을 이용한 새로운 검사 기법을 검증하는 연구.
② 새로운 바이오마커 (예, 암 관련 면역·대사 인자, 종양 미세환경 등)를 분석하는 연구.
③ 액체생검 (예, circulating tumor DNA, cell-free DNA, micro RNA)을 이용한 연구 및 분석 기법을 개발하는 연구.
④ 암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기기 (예, nano-contrast를 이용한 Computed tomography (CT), Magnetic resonance imaging (MRI),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(PET), ultrasound Imaging, Photoacoustic tomography (PAT), Biosensor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기 등)를 적용 및 검증하는 연구.
⑤ 해당 진단 방법의 효과 (effectiveness) 뿐 아니라 타당성 (feasibility), 수용성 (acceptability), 안전성 (safety), 윤리적인 문제 (ethical/ legal issue) 및 현실적 인 문제 (real-world cost 등)가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다.
2) 조기 진단 의료기술의 기반 지식에 관련되는 발암 과정 및 전암병변 관련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 3) 조기 진단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한 암 발병 위험도 (risk stratification) 분석, 암 관련 배선 유전자 돌연변이 (germline mutation) 분석, 암 발병 예측 알고리즘 구축 (예, 인 공지능[artificial intelligence, AI] 이용) 등이 포함될 수 있다.

(2) 암 환자 생존율,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치료와 관리 방안을 개발하는 연구 및 말기 암 환자 관리 향상을 위한 연구.

1) 합리적 지식을 근거로 하여 암 환자 생존율,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치료 및 관리 방안을 제 시하고, 아래와 같이 실제 검증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① 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및 관리 방안 (예, 약제, 교육, 신체활동 등)을 적용하였을 때에 생존율, 삶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연구
② 삶의 질 관련 지표 등을 함께 적용하여 분석하는 연구 (예, quality-adjusted life-year [QALY] 등 삶의 질 가산 생존기간 지표, 환자 보고 지표 [patient reported outcome], 건강 관련 삶의 질 [health-related quality of life] 관련 지표 등)
2) 우리나라 임상현장(real-world)에서 수집된 환자등록자료 또는 이차자료를 활용하여 환자 성과 및 실제 효과에 근거를 산출하는 임상연구(관찰연구, 중재연구 등)가 포함될 수 있다.
① 새로운 항암 치료/치료지침(guideline)을 통한 암 부담 감축
② 진행기 및 말기암 환자의 주요 시기별 치료 부담 및 케어 필요도 (care needs)의 전향 적 평가
③ 다학제 직역간(interdisciplinary) 완화의료팀 접근을 통한 삶의 질(증상, 의사결정 부담 등) 지표의 향상 등
3) 우리나라 암 환자를 위한 삶의 질 관련 지표를 개발 및 적용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4) 말기 암 환자의 치료부담을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과 효과성 평가나 증상 (예, 통증, 구역, 호흡곤란 등) 조절을 위한 완화의료 측면의 치료 및 관리 방안 개발 및 검증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5) 말기 암 환자와 가족의 존엄한 임종 준비를 위해 적절한 호스피스 (예, 입원형, 자문형, 가정형 등) 방안이나 임상적, 심리적, 사회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통합적 지지 치료관리 체계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포함될 수 있다.
6) 치료 관리에 대한 평가를 위해 우리 나라 임상현장에서 수집된 환자 등록 자료 또는 이차 자료를 활용 하거나 설문조사 연구를 포함할 수 있다.
7) 단일기관 단위의 임상현장(real-world data) 자료에 더하여 국가자료(심평원, 공단 등)를 결 합하거나 확대 적용하여 시행하는 과제 수행 연구도 가능하다. 국가자료 (심평원, 공단, 통계청 사망자료 등)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관련 자료 이용 방법과 그 실행 가능성 등을 구체적으로 명 시해야 하며, 보건의료연구원이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이용을 권고한다.
8) 유효성 및 안전성이 연구기간 내에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.

3. ‘영역 3 연구’

가. 지원 대상 연구의 주제
  • 드문 암(rare cancer) 또는 등한시 된 암(neglected cancer)에 대한 의학적 연구.
나. 지원 연구비 규모, 과제 수 및 기간
1) 지원 연구비(총액 기준) : 3억 5천 – 4억 원/3년
2) 과제 당 지원 연구비 상한 액 : 1억 원/년을 원칙으로 하되 심사과정에서 조정 가능함.
3) 지원과제 수 : 총 지원 연구비 규모 이내에서 선정
4) 지원 연구기간 : 최대 3년 (2022.9 – 2025. 8)
다. 제안배경
  •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매우 낮아, 그동안 연구 및 관심영역에서 등한 시 된 암에 대한 의학적 연구를 지원하고자 함. 드문 암(rare cancer)에 대한 정의는 나라마다 다르지만, 통상 연간 발생률이 인구 10만 명당 6-10명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.
  • 발생/사망률이 높은 호발 암에 비하여, 드문 암은 국가나 연구지원기관의 연구지원 우선순위에서 제외되는 경향이 있음. 또한 드문 암 또는 등한시 된 암을 전공하는 연구/임상전문가도 별로 없고, 따라서 진단이 늦어지며, 유효한 표준 치료지침도 없어 발병 환자의 예후가 불량하고, 그리하여 해당 환자 대부분은 그대로 방치되고 있 는 실정임.
  • 그러나 드문 암으로부터의 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암의 생물학적 특성이 많이 밝혀진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드문 암에 대한 의학적 연구는 등한 시 될 수 없는 연구영역임.
  •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이긴 하나 일단 발생하면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대상 암환자 에게 유효한 관리 및 진료대책을 개발/제시하기 위한 의학적 연구를 지원하고자 함.
라. ‘영역 3 연구’의 연구제안 요청서(RFP) 내용
1)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매우 낮은 드문 암, 또는 연구지원이 등한시 되어 국내 연구업적이 매우 저조한 암을 대상으로 한다. 단, 호발암의 유전체분석에 의한 아형분류 후, 드문 암으로 정의될 수 있는 암(molecularly defined variants of common cancer)은 연구대상이 아니다.
2) 이번 연구는 고형암 (solid tumor)을 우선적 대상으로 한다.
3) 대상 암에 대한 생존률 향상 또는 재발 및 전이 억제 방법과 같은 임상적 미충족 수요 (unmet need)를 해소하기 위한 의료기술 개발에 관련한 기초의학적, 예방의학적, 또는 임상의 학적 연구 (예: 수술법 개발 및 검증, 수술 전/후 보조 방사선치료법 개발 및 검증, 또는 한국 형 치료지침 연구 등등)
4) 제한적 의료기술로 지정된 치료법의 검증을 위한 연구도 포함되며 산학연병 연계연구가 권 장된다.
5) 의료 빅데이터, 인공지능 (AI), 환자맞춤형 3D 프린팅 기술 등 융복합 의료기술 개발 연구를 권장한다.
6) 우리나라 자료를 기반으로 한 현장적용(관찰/역학, 중재연구 등 action research) 연구로 수행한다.
7) 학술적(또는 한국형) originality가 인정되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어야 하며, 이미 기존의 보고 된 국내외 연구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.
8) 국제협력연구에 참여하기 위한 연구도 포함한다.

IV. 지원 과제 목록

구분 연구책임자 및 소속 연구제목 연구기간
영역1 신동욱/삼성서울병원 비만 요인 원인점유/기여율 규명 및 비만 관리 의료개발 연구 3년
안태진/한동대학교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한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 위험도 예측과 한국인 대상 지방줄기세포 전사체 기반의 비만 유형 확립을 통한 개인 맞춤형 비만 관리 플랫폼 구축 3년
김선영/서울아산병원 한국인 암환자에서 근감소증 및 체구성 이상에 기반한 암 치료 최적화 모델 구축 3년
영역2 이승태/연세의료원 자궁경부 세포진 유전체분석을 통한 부인암 통합적 조기 진단법 개발 3년
박세훈/삼성서울병원 암환자의 치료 부작용 평가, 방지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 생체지표를 이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3년
영역3 김혜련/연세의료원 인유두종 바이러스 관련 난치성 두경부암의 종양 면역 특성 규명과 신규 항암 면역 복합 치료 전략 개발 3년
이성환/차의과대학교분당차병원 다중 오믹스 프로파일링 기법을 활용한 바터팽대부암의 임상 특이적 분자 아형 기반 정밀 치료 전략 구축 3년
정은재/서울대학교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와 3D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하인두암 항암방사선치료 반응성 예측 모델 개발 3년